[목차여기]
상품을 구매해서 판매하는 도소매업의 오너를 위한 손익계산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한다.
한국의 도소매 중소기업의 경우 대부분이 소규모 회계법인이나 세무사를 통하여 대리 기장하기 때문에,
해당 기업의 CEO 또는 오너가 손익계산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과도한 세금 납부
또는 절세의 기회를 잃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CEO 또는 오너에게 손익계산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를 돕고, 미래에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창업자 분들에게 기본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합니다.
도소매업 손익계산서의 숨겨진 비밀: 매출원가 산정과 재고자산평가
# 예시 데이터
- 기초재고: 2024-01-01: 100개, 단가 200원, 총액 20,000원
- 당기매입:
- 2024-02-01: 50개, 단가 220원, 총액 11,000원
- 2024-03-01: 150개, 단가 210원, 총액 31,500원
- 2024-04-01: 200개, 단가 230원, 총액 46,000원
- 매출: 총 350개, 평균단가 300원, 총액 105,000원
- 기말재고: 150개
- 판매비와일반관리비: 10,000원
- 영업외수익: 2,000원
- 영업외비용: 1,000원
손익계산서(총평균법 기준 작성)
상기 예시 데이터를 기준, 총평균법 재고자산 평가 방법으로 손익계산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항 목 | 금 액(원) |
매출액 | 105,000 |
매출원가 | 75,950 |
매출총이익 | 25,050 |
판매비와일반관리비 | 10,000 |
영업이익 | 19,050 |
영업외수익 | 2,000 |
영업외비용 | 1,000 |
법인세전 당기순이익 | 20,050 |
재고자산평가법별 매출원가 차이
이 예시에서는 각 재고자산평가법에 따라 매출원가가 다르게 계산되었습니다. 선입선출법에서는 가장 높은 매출원가가, 후입선출법에서는 가장 낮은 매출원가가 산출되었습니다. 총평균법은 그 중간 값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차이는 재고의 가격 변동과 구매 시점, 그리고 각 평가방법의 특성에 따라 발생합니다. 선입선출법은 먼저 구입한 저가의 재고부터 판매된 것으로 간주하여 높은 매출원가를 산출하고, 후입선출법은 최근에 구입한 고가의 재고부터 판매된 것으로 간주하여 낮은 매출원가를 산출합니다. 총평균법은 전체 재고의 평균 단가를 사용하여 중간 수준의 매출원가를 산출합니다.
재고자산의 평가 방법에 따라 회사의 손익이 변경됨으로 인하여, 이를 악용 방지를 위하여 법인세법에서는 재고자산평가 방법을 변경할 경우 사업연도 종료일 3개월 전까지 신고하여야 한다. 또한, 재고자산평가 방법의 변경에 따른 잉여금 변동이 발생됨으로 이것에 대한 서술은 추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1. 선입선출법(FIFO: First In First Out)
- 매출원가 계산: (100 × 200) + (50 × 220) + (150 × 210) + (50 × 230) = 77,500원
2. 후입선출법(LIFO: Last In First Out)
- 매출원가 계산: (200 × 230) + (150 × 210) = 74,000원
3. 총평균법(Total Average Method)
- 평균단가: (20,000 + 11,000 + 31,500 + 46,000) ÷ (100 + 50 + 150 + 200) = 217원
- 매출원가 계산: 350 × 217 = 75,950원
4. 재고자산평가법에 따른 매출원가 변동내역
평가방법 | 매출원가(원) | 당기순이익 | 차이(총평균법 기준) |
선입선출법(FIFO) | 77,500 | 18,500 | -1,550 |
후입선출법(LIFO) | 74,000 | 22,000 | +1,950 |
총평균법 | 75,950 | 20,050 | 0 |
도소매업의 매출원가 산출 시 주의해야 할 점
정확한 재고 관리
- 실지재고조사법 활용: 정확한 매출원가 계산을 위해 기말재고자산에 대한 실제 조사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재고자산의 감모나 평가손실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재고자산평가방법 선택: 선입선출법(FIFO), 후입선출법(LIFO), 총평균법 등 다양한 재고평가방법 중 기업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매출원가와 재무제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비용 인식의 정확성
- 직접비용 포함: 상품 구매 비용뿐만 아니라 운송비, 보관비 등 직접적으로 관련된 비용도 매출원가에 포함해야 합니다.
- 간접비용 제외: 일반 관리비, 판매비 등의 간접비용은 매출원가에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회계 원칙 준수
- 수익·비용 대응 원칙: 매출이 발생하는 시점에 그에 상응하는 매출원가가 반드시 함께 회계처리 되어야 합니다. 선매출, 선출고 등은 회계기준에 위배될 수 있습니다.
- 저가법 적용: 재고자산의 가치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하는 경우,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적은 금액으로 감액하고, 그 차이를 재고자산평가손실로 매출원가에 반영해야 합니다.
기타 고려사항
- 관세환급 처리: 수출품 생산에 사용된 원재료에 대한 관세환급금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하여 처리해야 합니다.
- 재고자산 실사차이 처리: 제품, 반제품, 상품의 재고자산 실사차이 손실은 매출원가로 처리하지만, 원부재료나 저장품의 경우 정상감모 범위 내에서는 재료비로 반영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점들을 주의하여 도소매업의 매출원가를 정확하게 산출함으로써, 기업의 수익성과 재무상태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효과적인 경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매출원가 산출 시 기초상품재고액 결정 방법
- 전기(前期) 이월: 기초상품재고액은 전 회계기간의 기말상품재고액과 동일합니다. 즉, 전기의 마지막 날에 결정된 재고자산의 가치가 당기의 기초상품재고액이 됩니다.
- 재고자산평가방법의 일관성: 기초상품재고액은 전기에 사용한 재고자산평가방법(예: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총평균법 등)을 일관되게 적용하여 결정합니다.
- 실제 재고조사: 회계기간 시작 시 실제 재고조사를 통해 기초상품재고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실지재고조사법을 사용하는 기업에서 중요합니다.
- 계속기록법 활용: 계속기록법을 사용하는 기업의 경우, 전기 말의 장부상 재고금액이 당기 초의 기초상품재고액이 됩니다.
- 재고자산등식 활용: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상품매입액 = 매출원가 + 기말상품재고액 이라는 등식을 활용하여 역산할 수 있습니다.
기초상품재고액의 정확한 결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당기의 매출원가 계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당기순이익 산정에도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기업은 일관된 회계정책을 적용하고, 정확한 재고관리를 통해 기초상품재고액을 신뢰성 있게 결정해야 합니다.
매출원가 산출 시 당기매입액 계산 방법
- 당기매입액 = 총매입액 + 매입부대비용 - 매입에누리 - 매입환출 - 매입할인
계산과정 설명
- 총매입액: 해당 회계기간 동안 구매한 모든 상품의 총 금액입니다.
- 매입부대비용: 상품 구매와 직접 관련된 추가 비용으로, 주로 운송비가 포함됩니다.
- 매입에누리: 구매 시점에 즉시 적용되는 가격 인하 금액입니다.
- 매입환출: 구매한 상품을 반품한 금액입니다.
- 매입할인: 조기 지불 등의 이유로 받은 할인 금액입니다.
매출원가 계산 공식
- 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정확한 당기매입액의 계산은 매출원가 산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기업의 수익성 평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매출원가 산출 시 기말상품재고액 결정 방법
재고자산의 수량 결정
기말상품재고액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재고자산의 수량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 실지재고조사법: 보고기간 말에 창고를 직접 조사하여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합니다.
- 계속기록법: 매출이 발생할 때마다 재고수량을 기록하여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합니다.
- 혼합법: 판매수량 및 재고를 모두 세어 확인합니다.
재고자산의 단가 결정
수량이 파악되면, 다음으로 재고자산의 단가를 결정해야 합니다. 주요 방법으로는;
- 개별법: 각 재고자산의 실제 구입가격을 개별적으로 추적합니다.
- 선입선출법(FIFO): 먼저 구입한 상품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합니다.
- 후입선출법(LIFO): 나중에 구입한 상품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합니다.
- 총평균법: 모든 재고자산의 평균 단가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상기에서 언급한 이외 재고자산평가 방법은 이동평균법과 매가환원법이 있습니다.
기말상품재고액 계산
선택한 방법에 따라 기말상품재고액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총평균법을 사용할 경우:
- 총평균단가 = (기초재고액 + 당기매입액) ÷ (기초재고수량 + 당기매입수량)
- 기말상품재고액 = 기말재고수량 × 총평균단가
매출원가 계산
최종적으로 매출원가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 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상품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말상품재고액을 결정하고 매출원가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재고평가방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기업은 일관된 회계정책을 적용하고 정확한 재고관리를 통해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2024년 사업년도 법인결산 및 법인세 신고 가이드
[목차여기] " 2024년 사업연도 법인결산 및 법인세 신고 가이드 " I. 법인결산 일정 수립1. 법인결산 준비(2024년 12월 1일 ~ 12월 31일)미결 회계처리 완료재고자산 실사채권·채무 잔액 확인감가상
walkingthinpaper.tistory.com
메타버스와 메타 인더스트리: 새로운 산업 혁명 패러다임
[목차여기] " 메타버스와 메타 인더스트리: 새로운 산업혁명 패러다임 " 1. 메타버스의 정의와 특징: 가상과 현실의 융합이 만드는 새로운 세계 메타버스는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와 '우주'를
walkingthinpaper.tistory.com
메타 세상의 미래: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어서
[목차여기] " 메타 세상의 미래: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어서 " 1. 메타 세상의 정의와 특징 메타 세상, 즉 메타버스는 '메타'(초월)와 '유니버스'(세계)의 합성어로, 현실 세계를 초월하여 가상
walkingthinpaper.tistory.com
'1. 기업 경영을 위한 경영학 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제조기업을 위한 매출원가 마스터 가이드: 도소매업과 핵심 차이점 (123) | 2024.12.24 |
---|---|
혁신적 관리회계: 기업 가치 창출의 숨은 열쇠 (99) | 2024.12.23 |
2024년 사업년도 법인결산 및 법인세 신고 가이드 (92) | 2024.12.21 |
2024년 주요 세법 개정(안) 사항: 세무 전문가가 알려드리는 핵심 변화 (90) | 2024.12.12 |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성공을 위한 리더십의 모든 것 " (66) | 2024.12.05 |